게시일: 2025년 5월 28일
※ 면책 조항: 본 콘텐츠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닌 정보 제공용이며, 투자에 대한 최종 판단과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. 본 글은 게시일 기준의 정보에 기반하고 있어 이후 변동 가능성이 있습니다.
두산에너빌리티(034020) 기업 분석 - 글로벌 에너지 전환 시대의 중추
목차
- 기업 개요 및 역사
- 사업 모델 및 주력 제품
- 산업 및 시장 분석
- 재무 현황 및 최근 5개년 실적
- 경쟁력 및 리스크 요인
- 최신 뉴스 및 향후 전망
- 투자 매력도 분석
- 결론
- 관련 링크 및 경쟁 기업 정보
1. 기업 개요 및 역사
두산에너빌리티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중공업 기업으로, 1962년 창립 이후 발전설비, 원자력, 수소터빈 등 에너지 기반 산업 전반을 아우르며 성장해왔습니다. 과거 두산중공업에서 2022년 3월 사명을 변경하며, 에너지 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기술 중심 기업으로 재도약하고 있습니다.
2. 사업 모델 및 주력 제품
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설비를 중심으로 원자력, 가스터빈, 수소 및 신재생에너지 부문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.
- 화력발전 설비: 석탄 및 LNG 발전소용 보일러, 터빈, 발전기 공급 (전체 매출의 약 40%)
- 원자력 부문: 원자로, 증기발생기 등 공급 (약 25%)
- 가스터빈 및 수소터빈 개발: 국산화 기술 확보 중 (약 10%)
- 풍력 및 신재생에너지: 해상풍력 중심의 성장 추진 (약 10%)
- 기타 플랜트 및 수처리 사업: 글로벌 EPC 수주 등 (약 15%)
3. 산업 및 시장 분석
글로벌 에너지 전환 기조에 따라 친환경 발전설비 및 수소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, 두산에너빌리티는 이 같은 흐름에 맞춰 고효율 가스터빈 및 수소터빈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원자력 부문은 정부의 정책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며, 국내외 신규 수주 확대 여부가 관건입니다.
4. 재무 현황 및 최근 5개년 실적
연도 | 총수익 (억원) | 순이익 (억원) | EPS (원) | PER | PBR | ROE (%)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2024 | 19,864 | 1,153 | 1,085 | 13.5 | 0.97 | 7.2 |
2023 | 17,982 | 866 | 837 | 15.2 | 1.12 | 6.1 |
2022 | 16,731 | 489 | 514 | 21.3 | 0.92 | 4.5 |
2021 | 14,082 | -1,456 | -1,212 | – | 0.75 | -7.8 |
2020 | 13,174 | -5,205 | -4,213 | – | 0.58 | -18.2 |
5. 경쟁력 및 리스크 요인
- 경쟁력: 국내 유일의 원전 증기발생기 및 대형 가스터빈 제작 기술 보유
- 수소터빈 개발 선도: 차세대 친환경 발전 기술에 대한 선제 투자
- 리스크: 국내외 에너지 정책 변화, 수주산업 특성상 매출 변동성, 과거 대규모 적자
6. 최신 뉴스 및 향후 전망
- 2025년 5월: 사우디 수전력 프로젝트 수주 발표. 약 1.3조원 규모 출처
- 2025년 4월: 수소혼소 가스터빈 실증 시험 가동 돌입 출처
- 2025년 3월: 국내 해상풍력터빈 신규 수주 확대 출처
7. 투자 매력도 분석
두산에너빌리티는 친환경 에너지 전환 흐름 속에서 발전설비 국산화를 이끌고 있으며, 정부의 원전 수출 전략 및 수소터빈 개발 등에서 장기적 성장이 기대됩니다. 다만, 수주 기반의 산업 구조와 과거의 재무 리스크는 여전히 투자 시 고려해야 할 부분입니다.
8. 결론
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외 에너지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재도약을 시도하고 있으며, 원전·가스터빈·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지속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투자자는 수주 상황과 정책 리스크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.
9. 관련 링크 및 경쟁 기업 정보
https://www.doosanenerbility.com/kr